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바이럴 마케팅
- 서비스 기획
- PRD
- 프로덕트 매니저
- 프랑스 길
- PM
- 애자일
- 필수품
- 스페인 순례길
- 여행 추천지
- 토스 세션
- PO
- 마케팅의 본질
- 그로스해킹
- retention
- 배낭 여행
- 바이럴 성장
- 순례자의 길
- 프로덕트 오너
- 마케팅
- 성장
- 애자일 조직
- 토스 PO 세션
- Product Owner
- 순례자의 길 코스
- 스타트업
- 스페인
- 배낭여행
- 스페인 하숙
- 마케팅 불변의 법칙
- Today
- Total
Sapere_aude
스타트업의 오해 - Do things that don't scale - 행동에 초점을 맞추기 본문
스타트업을 시작할 때 보통 정해져있는 트랙은 없는 것 같다.
어떠한 방법을 써서라도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정의할 수 있어야 하며,
어떠한 방법을 써서라도 효과적으로 이전 방식보다 편하게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찾아야하며,
어떠한 방법을 써서라도 제품으로 만들고 사람들을 제품의 유저가 되도록 만들어야한다.
하지만 종종 스타트업에 대해 사람들이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 것 같다.
당장의 임팩트가 커보이지 않아 보이는 것은 하지 않는다. 즉, 확장할 수 없는 일은 하지 않는다.
이미 성공한 스타트업을 봤을 때는 이렇게 생각하는 것은 자연스러울 수 있다.
그들이 한 순간에 성공한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.
하지만 자동차의 엔진처럼 굴러가기 시작했을 때는 쉽지만, 이것을 처음에 굴러가게끔 하는데에는 더 큰 노력이 필요하다.
Y Combinator에서 가장 많이하는 조언 중 하나는 “확장 가능하지 않은 일을 하라”이다.
많은 창업자들이 제품을 만들면 사람들이 약속한 것처럼 몰려올 것이라 생각한다.
그리고 만약 사람들이 몰려오지 않는다면, ‘시장이 존재하지 않는다’라고 투덜된다.
두 가지 관점을 동시에 생각해야 한다.
수치적으로 기업에 도움이 되는 관점 그리고 확장 가능하지 않지만 이해도를 높이는데 혹은 작은 행동이라도 유저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행동의 관점이다.
아직 확장 가능하지 않은 일에 대해 이해가 부족할 수 있다.
우선 확장 가능하지 않은 일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,
왜 이러한 일들을 하는데 주저하게 되는지를 확인해보겠다.
- Dropbox
- 클라우드 기반 파일 공유 서비스. 창업자가 직접 기술행사에서 사람들에게 다가가 제품 데모를 보여주고 가입을 유도했었다.
- Airbnb
- 이 플랫폼은 창립자들이 초기 사용자를 직접 만나고 호스트하는 것으로 시작했다.
- 제품에 대한 피드백을 직접 받고 확장하기 전에 제품을 개선할 수 있었다.
- 플랫폼에 열정을 가진 강력한 사용자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데도 도움이 되었다.
- Zappos
- 콜센터 직원이 고객과 충분히 통화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화된 고객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데 집중했다.
- 충성도 높은 고객 기반을 구축했을 뿐만 아니라 제품에 대한 귀중한 피드백을 얻을 수 있었다.
위 사례처럼 지금 성공한 스타트업들이 한 순간에 갑자기 성장한 것이 아니다.
또한 갑자기 떠오른 번쩍이는 아이디어로 사용자가 만족하는 제품을 만든 것도 아니다.
오히려 뒤에서 수 많은 고민을 하고, 시도를 하고, 실패를 했다. 그리고 작은 일이더라도 지속적으로 행동으로 옮겼다.
확장 가능하지 않은 일을 하는데 주저하는 이유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.
첫 번째 이유는 위에서 얘기한 것과 같이 크고 유명한 스타트업들이 이런 방식으로 절대 시작할리가 없다고 생각한다. 바로 데려올 수 있는 사용자 수가 매우 적어보이기 때문이다.
두 번째 이유는 부끄러움과 게으름 때문이다. 자신의 서비스를 싫어하는 사람과 마주치기를 원하지 않는 것이다.
어떠한 스타트업도 갑자기, 한 순간에, 번쩍이는 아이디어로 성공하지 않았다.(물론 운이 아주 좋은 경우 그럴 수도 있다.)
성공한 스타트업의 현재의 모습만을 추상적으로 바라볼 것이 아니라,
조금만 더 깊게 생각해보면 현재 보이는 그 단계로 궤도를 올려놓기까지 엄청난 고통을 감수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그리고 스타트업으로 성공/성장하기 위해서는 그러한 고통을 감수해야 한다.
확장 가능한 영역에 대한 일만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,
더 효과적으로 확장 가능한 비즈니스를 만들기 위해서,
확장 가능하지 않더라도 해야만 하는 일을 하자.
https://paulgraham.com/ds.html
https://medium.com/delightroom/do-things-that-dont-scale-6876c5682a75
'Sapere_aude_프로덕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기능 요구사항 정의 5단계 [ 사용자 > 목적 > 과정 > 요소 > 예외 ] (0) | 2024.01.21 |
---|---|
제품 요구사항 정의서(PRD) - 좋은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 (0) | 2024.01.13 |
프로덕트 매니저, 성장하기 위해 길러야하는 4가지 역량 (0) | 2024.01.06 |
토스 PO 세션 - 지속가능한 성장을 만드는 법 (0) | 2022.07.11 |
토스 PO 세션 - 바이럴 성장이란 무엇인가? (데이터 그로스 모델링) (0) | 2022.07.03 |